Back To Top

EN
HISTORY OF
HERALD
DESIGN FORUM
NEWS
VIEW MORE
황정록 아티스트, “AI 제아무리 발전해도, 아티스트의 ‘창의성’이 핵심” [헤럴드디자인포럼 2024]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머신 러닝이나 인공지능(AI) 등 기술이 발전해도 아티스트의 창의성이 핵심 요소라고 믿어요. 아무리 좋은 칼이 있어도 누구나 훌륭한 요리를 만들 수 있는 건 아니잖아요. 기술은 어디까지나 ‘도구’일 뿐입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CG를 자랑하는 영화 ‘아바타2’ 제작에 참여한 황정록 시니어 페이셜 아티스트는 지난 8일 서울 반포 세빛섬에서 열린 ‘헤럴드디자인포럼 2024’에서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다: 아바타2 페이셜 모션 테크놀러지의 새 시대를 열다’라는 주제로 청중을 만났다. 뉴질랜드에 위치한 스튜디오 웨타FX에 몸담고 있는 그는 ‘아바타2’를 비롯해 ‘반지의 제왕’,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트랜스포머’, ‘레버넌트’ 등 지난 17년간 약 20여 편의 할리우드 영화에 기여해 온 시각특수효과(VFX) 전문가다. 가장 최신의 기술을 다루며 VFX 분야 최전선에서 새 역사를 쓰는 장본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아티스트다. 그러나 그는 거듭 강조했다. 제아무리 기술이 진화해도 아티스트의 창의성으로 아름답게 재해석돼야 캐릭터가 숨 쉬듯 살아움직인다는 설명이다.     배우의 얼굴 표정 데이터를 영화 속 설정인 ‘나비족’ 애니메이션으로 옮겨 제작한 ‘아바타2’ 캐릭터 키리가 대표적이다. 황 아티스트는 70세가 넘는 배우 시고니 위버의 얼굴을 14세 소녀 캐릭터인 키리로 세월을 거슬러 표현해야 했다. 배우의 연기 데이터만으로 캐릭터를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컸다. 그의 ‘창의적 터치’가 더해진 것도 바로 이 순간이다. 황 아티스트는 “키리가 화를 낼 땐 코를 찡그리는 형태 변화를 구현해야 했다”며 “고양이 표정을 저의 감각으로 해석해 캐릭터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황 아티스트는 ‘아바타2’에 첫 도입돼 VFX 분야에서 새 지평을 연 기술 APFS(Anatomically Plausible Facial System)가 작동되는 과정도 구체적으로 전했다. 아바타2 이전에 사용된 기술은 FACS(Facial Action Coding System)인데, 지금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스템 중 하나다. 두 시스템의 차이는 ‘아바타’와 ‘아바타2’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피부 근육이 어떻게 달리 움직이는지 주목해 보면 알 수 있다. 예컨대 ‘아바타’에서 제이크의 입꼬리 근육의 움직임은 ‘아바타2’에 나오는 제이크보다 밋밋하다.   황 아티스트는 “FACS 방식으로는 피부 속의 근육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장면마다 캐릭터의 완벽한 얼굴 표정을 구현하고 싶었고 APFS는 자연스럽고 사실감 넘치는 표정을 만들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APFS가 머신 러닝과 결합되면서 매 프레임마다 캐릭터 얼굴 표정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게 됐다. 캐릭터가 보여줄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길잡이 되는 표정을 미리 만들어 장면마다 아티스트가 원하는 표정을 수시로 수정해 나갈 수 있게 된 것. 황 아티스트는 “AI 시스템은 예측하기 어려운 블랙홀처럼 행동해서 이 분야에 적합하지 않다”며 “그런데 머신 러닝을 활용한 APFS를 사용하면서 캐릭터 얼굴 표정 컨트롤이 가능해졌고 덕분에 미세한 감정을 전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아바타2’ 키리로 지난해 미국시각효과협회 어워즈(Visual Effects Society Awards)에서 포토리얼 영화 부문 최고 애니메이션 캐릭터상을 수상했다. 황 아티스트는 “이 분야는 매일같이 새로운 기술이 등장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정말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다양한 사람들이 좋은 도구에 노출돼 있다”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아티스트의 창의성이 더 중요해진 이유”라고 거듭 강조했다. dsun@heraldcorp.com
조니 리 아이스테이징 대표, “전시회가 사라진다…가상현실이 대체할 것” [헤럴드디자인포럼 2024]
조니 리 아이스테이징 대표 강연 “하드웨어 디자인에 따라 컨트롤 달라져” 유명 패션 브랜드와 협업…“AI 관리 중요”   [헤럴드경제=정석준 기자] “XR(확장현실)을 사용하면 견본주택이나 전시회 등을 굳이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될 것입니다. 미래에는 고객이 가상현실에서의 체험을 중요시 여길 것입니다.” 유럽 메타버스 기업 아이스테이징(iStaging)의 조니 리(Johnny Lee) 대표는 8일 서울 반포 세빛섬에서 열린 헤럴드디자인포럼2024 시각특수효과 세션 연사로 나서 “미래의 디자인은 결국 하드웨어와 함께 소프트웨어의 콘텐츠도 중요해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그는 ‘XR을 통해 상상력을 볼 수 있는 여정을 디자인하다(Design a journey to see imagination thruough XR)’라는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그는 미국 CGU 드러커경영대 공학 MBA를 취득하고 이후 IT기업을 설립한 데에 이어 2015년엔 아이스테이징을 창립, 현재 XR 콘텐츠 대표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아이스테이징은 부동산, 패션 등 다양한 업계에서 가상현실 기술로 주목 받는 기업이다. 애플, 엔비디아 등 유명 IT기업들과도 가상현실 관련 제품을 개발 중이다.   아이스테이징이 강조하는 건 고객의 ‘경험’이다. 그는 이날 강연에서 XR을 활용해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버스 정류장, 영화 ‘아바타’ 메이킹필름 등을 가상현실 경험 사례로 소개했다. 그는 하드웨어의 편리한 디자인도 강조했다. 아이스테이징과 애플이 개발한 비전프로를 대표적 예로 꼽으며 “가상현실 세계에선 손이나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비를 어떻게 디자인하느냐에 따라 컨트롤 어려움 정도가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메타버스란 플랫폼에 주목하고 있다. 아이스테이징은 최근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과 함께 메타버스 공간의 플랫폼을 선보였다. 제품을 가상현실에서 보고 곧바로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그는 “디올, 샤넬, 루이비통 같은 우리의 고객사 디자이너들은 보석, 제품 등을 단기간에 3D로 만들 수 없지만, 우리는 10분 만에 가상현실로 구현한다”며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루이비통의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상점을 방문하고, 디올이 시즌마다 여는 팝업스토어를 가상 현실에도 만들어 온라인 매출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 도쿄에 있는 매장을 둘러봤는데, 원하는 상품이 없으면 프랑스 파리에 있는 매장으로 이동해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식”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통해 브랜드 매출이 높아지고, 고객의 브랜드 경험도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게 조니 리 대표의 설명이다. 인공지능(AI)의 미래와 관련해선,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화두로 꼽았다. 그는 “AI가 인간이 이야기하는 걸 이해할 순 있어도 인간이 보는 것까진 이해할 수 없다”며 “그래서 디지털 트윈이란 개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와 동일한 3차원 가상 모델을 만드는 기술을 뜻한다. 그는 디지털 트윈과 관련, “향후엔 AI가 인간을 어떻게 도울지 관리하는 디자이너도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mp1256@heraldcorp.com
건축계 거장 듀오, “새로 짓는 게 건축 아냐…강박 내려놔야” [헤럴드디자인포럼2024]
‘프리츠커상 수상’ 안 라카통·장 필리프 바살 강연 지속가능성의 철학 소개…건축물 형태 살려 변형 라타피 하우스·팔레 드 도쿄 등 대표 작업물 소개 “내부도 존중해야”…입주민 퇴거 없이 건물 개선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건축은 새롭게 지을 필요가 없습니다. 기존 건축을 최대한 긍정해주는 ‘낙관주의(optimism)’가 중요합니다.” 지속가능성의 시대, 이제 건축도 새로운 변화 바람이 불고 있다. 무조건 새로 짓는 게 아닌, 기존 건축물과 형태를 최대한 존중하고 활용하는 것. 그 새로운 건축 혁신의 중심엔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세계적 건축 듀오, 안 라카통(Anne LACATON)과 장 필리프 바살(Jean Philippe VASSAL)이 있다. 이들은 8일 서울 반포 세빛섬 열린 ‘헤럴드디자인포럼 2024’에서 연사로 나서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그들의 건축 철학을 소개했다. ‘기존의 어떤 것도 부수지 않는다’는 신조로 유명한 그들은 다양한 공간에 최소한의 변형 작업만으로 건물에 새 생명을 불어넣었다. 화려함과 웅장함으로 보는 이를 압도하는 게 아니라, 기존 건축물과 자연을 존중하면서도 공간을 바꿔놨다. 이런 방식은 지속가능성의 가치가 중요해지며 더 주목받았고, 그들은 2021년 건축계의 노벨상인 ‘프리츠커상’의 주인공이 됐다. 집터의 나무 한 그루조차 쉽게 베지 않겠다는 고집이 생태 위기에 처한 지금 묵직한 울림을 준다는 평가다. 오전 세션 첫 번째 연사로 나선 두 사람이 강연 주제로 제시한 ‘낙관주의(optimism)’도 기존 건축물을 긍정한다는 뜻을 담았다. 라카통과 바살은 이날 강연을 통해 기후에 순응하고, 기존 건축물의 형태를 살리는 건축 작업을 설명했다.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며, 실내 정원과 발코니 등 요소로 공간은 넓히고 기후 조절도 쉽게 할 수 있다. 우선 2017년 프랑스 보르도주에 530가구 규모의 3동짜리 낡은 공공주택을 극적으로 바꿔놓은 사례를 소개했다. 1960년대에 지어진 이곳의 파사드를 뜯어내고, 발코니를 만들어 온실 정원처럼 꾸며놨다. 파사드 쪽만 건축해, 거주자들은 건물 안쪽에서 퇴거하지 않고 일상을 보냈다. 바살은 “건물을 외관만 볼 게 아니라 안에서 볼 필요도 있다. 20~30년간 지낸 입주민이 매일 어떻게 일상을 보내고 에너지를 채우며 노력했는지 봐야 한다는 것”이라도 설명했다. 이어 “낡은 아파트가 내부를 존중하면서 새롭게 재탄생했다”고 강조했다. 또 “많은 예산을 투입하지 않고도 표준적 건물보다 나은 건축물을 만들고, 주민을 퇴거시키지 않고 공사를 마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온실 기술도 주택에 적용한 사례도 소개했다. 바로, 1993년 프랑스 남부 플루아라크에 완공한 ‘라타피 하우스’다. 집 뒤편에 투명한 패널을 부착해 공간을 확장하고, 자연 환기와 차양이 가능하게 했다. 식물까지 들여오며 온실정원 기능도 갖춘 ‘생태 발코니’가 됐다. 바살은 “저렴한 비용으로 이중 (용도로) 사용될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며 “라타피 하우스는 건물 내부와 외부 사이에 완충 공간과 자연 채광을 제공했고, 그늘에선 삶을 즐기며 자유를 만끽할 수 있게 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새로움에 대한 강박을 내려놓아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고칠 이유를 억지로 늘리지 않고, 정말 필요한 부분을 개선하는 데에 집중한단 의미다. 이 맥락에서 증축 혹은 리모델링을 ‘건물 변형’이라고 표현했다. 대표 사례가 1937년도에 지어진 원모습을 유지한 파리 현대 미술관 ‘팔레 드 도쿄’. 라카통은 “2010년 당시 정부가 2만5000㎡ 규모의 이곳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하고, 아뜰리에(작업실)나 갤러리 등을 마련해 전시할 수 있도록 2단계 공사를 시작했다”며 “우리는 이 작업에서 추가적인 수리작업을 하면서도 가벽을 유지하며 관련 시스템은 유지하려 했다”고 회상했다. 그 결과, 2012년 이들은 낡은 건축물에 단순한 재료만 써서 지하 공간만 2만㎡가량 신축했다. 기존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고, 내부 마감은 최소화해 기존 건축물의 분위기를 헤치지 않았다. 라카통은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건물이 된 이곳은 아주 최소한의 수리만 하고 일반에 공개됐다”며 “추가적인 작업은 필요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원칙은 신축에도 그대로 적용한다. 바살은 강연 중 푸른 소나무 수십여그루가 자라 있는 한 사진을 발표 화면에 띄웠다. 30여년 전 라카통과 바살이 프랑스 보르도의 작은 바닷가 마을에 설계 의뢰를 받은 집터의 모습. 그들은 나무를 베어내는 대신, 집 안으로 관통하는 구조를 고안했다. 바살은 “사람들은 나무를 베고 모래사장을 없애고 그 위에 집을 짓지만,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고 건설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며 “숲을 건축 요소로 가져와, 아주 정밀하게 기초공사를 했다”고 설명했다. 어떻게 하면 집 바닥이 나무뿌리를 피할 수 있을지, 바다에 비치는 빛이 어떻게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있을지 고민을 거듭, 집안 곳곳에 나무들이 관통하는 구조로 건축했다. 라카통과 바살은 40여년간 활동해온 거장임에도 불구, 여전히 치열하게 건축을 고민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건축과 도시는 갈수록 복잡하지만, 단순한 답을 내놔야 한다. 정밀성과 관대함, 친절함도 필요하면서도 시적(詩的)이어야 한다”며 “또 기후친화적이고, 경제성을 갖춰야 한다. 그러면서도 건축은 변화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점에서 고민이 깊다”고 전했다.keg@heraldcorp.com    
FORUM
VIEW MORE